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278

[20220405] 개발자일기 & TIL 오늘은 개발 건의 사소한 수정 이후 일이 없어서 strapi 공부 겸 연구를 시작했다. 사실 가이드를 읽어보는 수준이라서 연구라고 하기도 뭐하지만 말이다. strapi는 헤드리스 cms이며, 관리자 페이지와 api를 커스터마이즈하여 쓸 수 있다고 한다. 퀵 가이드에서는 일종의 Database처럼 collection type을 정하고 entity를 저장하는 법을 설명하고 있었다. 회사 cms처럼 컨텐츠와 데이터를 등록할 수 있지만, 따로 뷰가 있는 것이 아니라 json으로 데이터 응답을 반환하는 것 같았다. 계속해서 설명 문서를 읽어 봐야겠다. TIL redirect를 시도하면서 model로 데이터를 넘겨주려고 시도했었는데 자꾸 안 돼서 그냥 url parameter에다 데이터를 넣어줬었는데, 오늘 그 해.. 2022. 4. 5.
[20220404] 개발자 일기 또 다른 한 주가 시작되었다. 이제 시간은 많이 생겼는데 개발과는 잡무가 생겨서 팀원들이 고생하고 있다. 이것도 개발자의 시선에서는 자동화해버릴 수 있으면 좋겠다고 생각하는데 쉽지가 않다. 여유가 생긴 만큼 자바나 node.js 공부에 투자해야겠다. 최근에 회사에서도 스터디 이야기가 나오면서 공부를 해야 할 분위기가 조성될 것 같다. 2022. 4. 4.
[2022401] 개발자 일기 & TIL 오늘로써 추가 수정사항들 마무리가 끝나서 1차 개발 건은 마무리가 되었다. 시간이 남아서 다른 업무들을 처리하고 4월 첫 금요일을 맞이하였다. 앞으로 자바나 자바 스크립트 공부를 더 해야 할 것 같다. TIL redirect에 관해 검색하다가 redirect와 forward의 차이에 대한 글을 봐서 정리한다. 예전에 JSP를 배우면서 차이를 비교했었는데 다시 한번 정리하며 상기해보려고 한다. forward는 요청이 들어왔을 때 다른 서블릿, JSP로 이동 및 실행한다. 서버 내에서 이동(위임)이 발생하는 것이기 때문에 새로운 요청이 발생하지 않는다. redirect는 요청이 들어왔을 때 응답에 이동할 주소를 담아 보내면 사용자가 다시 그 주소로 다시 요청을 보내 응답을 받는다. 즉, 요청과 응답이 두 번.. 2022. 4. 1.
[20220331] 개발자 일기 & TIL 개발 프로젝트의 1차 작업이 거의 마무리되었고 자잘한 수정 사항이 계속되고 있다. 내일 정도면 완전히 끝나고 다른 작업을 맡거나 아니면 새로운 cms 도입을 위한 공부를 하게 될 거 같다. 회사 cms도 좀 더 파헤쳐 보고 정리하는 작업도 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 TIL early return에 관한 글을 읽었다. early return이란 함수에서 조건을 충족하기만 하면 아래 작업을 수행하지 않고 바로 return해 버리는 것을 말한다. if-else문이나 if-else문을 중첩해서 사용하는 경우보다 가독성이 좋고 return이 바로 이루 어지므로 좀 더 속도도 빠를 것이다. 조건이 A가 아니면 B인 경우처럼 명확한 경우에는 if-else 문을 써도 무방하겠지만, if-else if-else if 나 .. 2022. 3. 31.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