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278 [20220412] 개발자 일기 & TIL 개발자적으로(?) 일하기. '~적으로'가 번역투라 싫다면 '개발자처럼 일하기'나 '개발자답게 일하기' 클라이언트의 말도 안 되는 요구 때문에 서버에 접근 권한 없이 수작업으로 첨부 파일을 옮겨야 할 상황이 생겼었다. 데이터를 덤프 명령어나 export로 옮기면 되는 것을 일일이 파일을 다운로드해서 글에 첨부해줘야 하는 말도 안 되는 업무였는데 동료들과 같이 작업을 하면서 반드시 크롤링으로 자동화해야겠다는 생각을 했다. 계속 회의에서도 크롤링으로 해볼 수 있을 거 같다는 말을 하긴 했으나, 개인적으로 시도해봤을 때 오류가 나고 있어서 호기롭게 직접 해보겠다는 말을 할 수 없었다. 근데 어제 결국 오류를 잡아서 크롤링으로 파일을 옮길 수 있게 되었다. 글 번호를 순회하면서 파일을 모두 다운로드하고 파일 정보.. 2022. 4. 12. [20220411] 개발자 일기 &TIL 주말 간에 서버가 터지면서 Heap space 에러를 어떻게 해결할지에 대한 고민에 빠졌었다. 호스팅 업체를 이용한다는 것을 알고 고객센터 질문방에 검색해보니 서버를 증설하거나 분석도구를 사용해서 메모리 릭을 찾아내야 한다고 설명하고 있었다. 근데 접속 정보에는 root 계정이 없어서 root 계정을 일단 구해보려고 시도하고 있는 중이다. java heap 분석을 위해서 자바 jdk 자체에서 제공하는 도구인 jps, jmap을 이용해서 head 영역이 어떻게 사용되고 있는지 체크해볼 수 있다고 한다. root 계정이 구할 수 있으면 그것도 한번 시도해보려고 한다. TIL 스프링 프레임워크 책을 다시 보면서 정리를 해보려고 한다. 1장 스프링 프레임 워크 소개의 내용이다. 스프링 프레임워크는 오픈소스 애플.. 2022. 4. 11. [20220407] 개발자 일기 & TIL 오랜만의 내근이라 일찍 일어났더니 하루 종일 피곤하다. 피곤하니까 집중도 못하고 작업 속도도 엄청 느려졌다. 수정사항이 내일까지 기한이긴 한데 오늘까지 다 끝내기는 무리긴 했다. 내일 출근해서 모두 마칠 것이다. 그 외에 다른 동료가 세션으로 중복 로그인하는 업무도 같이 협업하기도 했다. 어제 세션에 얻은 지식이 많은 도움이 됐다. TIL 를 읽기 시작했다. 자바스크립트는 프로토타입 기반 언어라고 했는데 그렇다고 해서 객체 지향이 아닌 것은 아니라고 한다. 객체 지향하면 클래스 많을 떠올리는데 클래스를 써야지만 객체 지향이 아니고 객체 지향이라는 개념이 중요한 거지 클래스가 중요한 게 아니다. 2022. 4. 7. [20220406] 개발자 일기 & TIL 한동안 여유로웠는데 수정사항 + 유지보수 건이 다시 들어왔다. 원래는 어제에 이어서 strapi 공부를 좀 하고 사내 노션 작성을 해보려고 했었는데 별로 하지는 못했고, 수정사항만 조금 보다가 끝났다. 내일부터 들어온 업무들 차례로 처리해야 할 거 같다. 노션 정리는 전부터 조금씩 해왔었고 새로 입사하는 분이나 사내 CMS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해서 공부도 할 겸 작성했는데 좀 더 깔끔하고 완성도를 높여보려고 하고 있다. 이 부분이 완성되고 나서야 회의에서 나왔던 사내 기술 블로그 도입 단계로 넘어갈 수 있지 않을까 싶다. TIL HTTP의 요청과 응답 header HTTP의 요청과 응답은 startline, headers, body로 구성된다. 이중에 headers의 구성요소 중 몰랐던 부분만 간략히.. 2022. 4. 6. 이전 1 ··· 25 26 27 28 29 30 31 ··· 70 다음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