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니터는 세마포어를 실제 구현한 프로그램이며, 프로세스들이 사용할 수 있는 공유자원을 할당하는 데 사용한다.
데이터 및 프로시저를 포함하는 병행성 구조이다.
모니터 내부 자원을 원하는 프로세스는 반드시 해당 모니터의 엔터리를 호출해야 한다.
모니터 외부 프로세스는 모니터 내부 데이터에 직접 접근할 수 없다.
자료 추상화와 정보 은폐의 개념을 기초적으로 사용한다.
스위치 개념을 사용하여 한순간에 하나의 프로세스만이 모니터에 진입할 수 있다.
모니터에서 사용되는 연산은 Wait와 Signal이 있다.
모니터의 경계에서 상호 배제가 시행된다.
'👨🏫일문일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상호배제 (0) | 2024.01.28 |
---|---|
바쁜 대기 (0) | 2024.01.28 |
교착상태 해결 방안 (0) | 2024.01.28 |
교착상태 발생 필요충분조건 (0) | 2024.01.28 |
교착상태 (0) | 2024.01.28 |